강 서 푸 른 꿈 성 모 어 린 이 병 원

비만


아이들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강서푸른꿈성모어린이병원

■ 소아비만이란?

성장기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또래 평균보다 체중이 20% 이상 많거나, 체질량지수(BMI)가 95백분위수 이상일 때 진단합니다.

최근 국내에서 소아비만의 빈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6~18세 소아청소년 5명 중 1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에 해당합니다.

■ 비만도(%) 계산

(측정체중 - 표준체중) / 표준체중 * 100
비만도는 표준 체중에 비하여 측정한 체중이 몇 % 증가하는지를 나타낸 것입니다.

비만도가 20~30%미만이면 경도, 30~50% 미만은 중등도, 50% 이상을 고도 비만으로 분류합니다.

■ 체질량 지수

체중(kg) / [키(m)]²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 2007을 사용하여 체질량지수가 85~95 백분위수에 해당하면 과체중, 95 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합니다.


소아비만 위험한 이유

  • 비만한 소아의 경우 흔히 알려진 여러 가지 성인 질환(심혈관질환, 고지혈증, 당뇨병, 지방간, 일부 암)이 어린 연령에서부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열등감, 우울증, 부정적인 자아관등의 정신사회적인 문제들 또한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소아기에 비만이 심할수록 성인에서도 비만이 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 발생원인

  • 1
    과도한 칼로리 섭취
  • 2
    운동 및 신체활동 부족
  • 3
    잘못된 식습관
  • 4
    가족 및 환경적 요인
  • 5
    유전적 요인
  • 6
    수면 부족
  • 7
    사회.경제적 요인
  • 8
    특정 질병 및 약물

■ 진단과 치료

  • 01

    비만은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출생력, 과거병력, 가족력을 비롯하여 면밀한 식습관 및 일상의 신체활동수준에 대한 청취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 02

    신체계측을 통하여 성장평가를 하고 체질량지수와 비만도를 구하여 혈압을 포함한 활력징후를 측정합니다.

  • 03

    진찰을 통해 비만 관련 동반 질환이나 원인이 되는 질환의 유무를 관찰하고 사춘기 발달 상태를 평가합니다.

  • 04

    일반적으로 혈당, 지질 및 간효소 수치 등의 일반화학 검사와 소변검사, 갑상선검사 등을 합니다.

  • 05

    또한 필요시 당화혈색소, 심전도,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을 하기도 하며, 정확한 혈액검사를 위해서 금식이 필요합니다.

  • 06

    행동수정 치료를 적용하여 식습관 조절 및 신체활동 및 운동량에 대한 조절과 관리를 하여 체중을 조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