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서 푸 른 꿈 성 모 어 린 이 병 원

저신장


아이들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강서푸른꿈성모어린이병원

■ 저신장이란?

정상적인 성장은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이며, 따라서 키와 체중은 소아의 건강 평가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저신장은 같은 연령과 성별의 표준 성장치에서 -2.0 SD 이하 또는 3백분위수 이하인 경우를 말하며, 이는 같은 또래 100명 중 키가 가장 작은 3명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실제로 키가 작아 병원을 방문하는 소아들 중 다수는 정상 범주 내에서 유전적 또는 체질적으로 키가 작은 경우가 많습니다.

■ 원인별 증상

/_files/6wLQM238l.jpg
병적인 저신장증 성장장애를 유발하는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로, 예를 들어 성장호르몬 결핍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염색체 이상, 유전자 이상, 골격계 질환, 만성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병적인 저신장증
성장장애를 유발하는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로, 예를 들어 성장호르몬 결핍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염색체 이상, 유전자 이상, 골격계 질환, 만성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체질성 성장지연 또래보다 성장과 사춘기 발현이 늦고, 골연령도 실제 연령보다 어린 경우입니다.
성장 속도는 정상이지만 사춘기 시작이 늦어 키가 작아 보이며, 사춘기 이후에는 정상 성인 키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 중 사춘기가 늦었던 경우가 흔히 동반됩니다.
체질성 성장지연
또래보다 성장과 사춘기 발현이 늦고, 골연령도 실제 연령보다 어린 경우입니다.
성장 속도는 정상이지만 사춘기 시작이 늦어 키가 작아 보이며, 사춘기 이후에는 정상 성인 키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 중 사춘기가 늦었던 경우가 흔히 동반됩니다.
가족성 저신장증 가족력이 있는 유전적 저신장으로, 성장 속도와 골연령은 정상이지만 부모가 모두 키가 작을 경우 아이도 유사한 성장 패턴과 최종 키를 보이는 경우입니다.
가족성 저신장증
가족력이 있는 유전적 저신장으로, 성장 속도와 골연령은 정상이지만 부모가 모두 키가 작을 경우 아이도 유사한 성장 패턴과 최종 키를 보이는 경우입니다.
특발성 저신장증 명확한 의학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로, 병적 이상이나 유전적 요인이 없지만 키가 지속적으로 낮은 상태입니다.
특발성 저신장증
명확한 의학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로, 병적 이상이나 유전적 요인이 없지만 키가 지속적으로 낮은 상태입니다.

■ 검사방법

  • 1
    혈액검사/소변검사
  • 2
    염색체/방사선검사
  • 3
    갑상선 기능검사
  • 4
    성장호르몬 유발검사

■ 치료방법

  • 01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각 질환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 02

    성장 호르몬 주사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터너증후군, 만성 신부전증의 치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질환 및 개인별로 효과가 있습니다.

  • 03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의사에게 치료받고 합병증 및 효과 유무를 판단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