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서 푸 른 꿈 성 모 어 린 이 병 원

저체중


아이들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강서푸른꿈성모어린이병원

■ 저체중이란?

소아의 영양 상태는 성장과 발달에 밀접하게 연관된 건강의 기본 요소입니다.

경미한 식이 문제는 가정 내 식습관 교육과 성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로 개선될 수 있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조기에 진료와 검사를 통해 문제를 확인하고 개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_files/6wLQy1iJr.jpg

■ 식욕부진 아동 평가

식욕 부진 아동을 평가할 때는 체중의 백분위수를 기준으로 객관적인 성장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연령별 체중 또는 신장 대비 체중(BMI)이 5백분위수 미만이면 저체중, 10백분위수 미만인 경우에도 의료적 개입이 필요한지를 검토해야 합니다.

식이문제가 심각한 경우

  • 식사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다. (30분 이상)
  • 음식 거부가 지속된다.
  • 식사 시간에 아이의 갈등이 많고, 식사 시간이 힘들다.
  • 아이 스스로 적절하게 밥을 먹는 횟수가 적다.
  • 아이가 밤에 음식을 먹는 경우가 많다.
  • TV,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시청하면서 밥을 먹어야 밥을 잘 먹는다.
  • 모유와 분유를 끊지 못하고 오래 먹는다.
  • 부드러운 음식에서 덩어리가 있는 음식으로 진행이 안된다.

경고 증상이 동반된 경우

  • 연하곤란, 기도 흡인(음식을 먹고 기침, 목막힘 등의 증상 발생)
  • 확실한 성장장애(연령별 체중, 키, 신장별 체중 〈 5백분위수)
  • 먹으면서 확실한 통증을 보이는 경우
  • 구토나 설사의 지속
  • 발달이 늦어지는 경우
  • 음식을 억지로 먹이고 있는 경우
  • 특정 사건(숨막힘 등) 이후 갑자기 안 먹는 경우
  • 먹기도 전에 구역질을 하는 경우

■ 해결방법

전문적인 상담 필수
아이의 영양 문제가 객관적으로 심각하지 않음에도 부모의 과도한 걱정으로 부적절한 식습관이 반복되면, 오히려 영양 상태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문가의 객관적인 평가와 상담만으로도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소아의 영양 상태는 성장과 발달에 핵심적인 요소로, 경미한 식이 문제는 가정 내 교육으로 개선 가능하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조기 진료와 검사를 통해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합니다.